지난 포스팅에서는 병아리콩 삶는 방법과 보관방법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2.07.15 - [생활정보] - 병아리콩 삶는 방법과 보관 방법
제가 병아리콩을 활용해서 가장 많이 만들어먹는 음식은 바로 후무스입니다. 후무스(Hummus)란 병아리콩으로 만드는 중동음식 겸 스프레드로 스프처럼 먹기도 하고 빵이나 크래커에 발라서 소스처럼 먹기도 합니다. 저는 스프처럼 먹기보다는 샌드위치 만들 때 소스대용으로 듬뿍 넣어주고 있습니다. 후무스가 병아리콩으로 만든거라 단백질도 풍부하고 포만감도 있어서 샌드위치에 넣어서 먹으면 정말 맛있거든요^^ 오늘은 정성껏 삶은 병아리콩을 이용해서 맛있는 후무스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후무스 만들기 전에 '타히니' 먼저 만들자!
기본적인 후무스 레시피에 필수로 들어가는 재료가 있습니다. 바로 '타히니' 입니다. 타히니는 참깨를 갈아서 만든 소스로 다른 말로 하면 참깨 페이스트 정도가 되겠네요. 제가 타히니를 만들어서 후무스를 만들고, 그냥 통참깨를 넣어서도 후무스를 만들어봤는데, 통참깨보다는 타히니를 만든 다음에 후무스를 만드는 레시피가 더 맛있더라고요^^ 조금 귀찮긴 하지만 참깨 먼저 갈아서 타히니 소스를 만들어주세요. 판매하고 있는 타히니소스가 있다면 바로 넣어주면 되지만 없다면 참깨를 믹서기에 넣고 갈아주면 됩니다.
타히니 소스 만드는 재료 (대략 타히니 5큰술의 양)
참깨 1컵 (250ml) , 올리브유 1큰술
우선 타히니 소스를 많이 만드실 분들은 참깨 한 컵당 올리브유 1큰술을 추가하면서 만들어주면 됩니다. 전 후무스 만들 때 넣을 양만 만들어줬습니다(약 5큰술 정도). 저처럼 적은양의 타히니 소스를 만드실 분들은 큰 용기보다 작은용기에 넣어 믹서기로 돌려주세요.
제가 사용하는 믹서기는 바이타믹스이고 용기는 오른쪽에 있는 작은 용기에 깨 1컵을 담아서 곱게 갈아줬습니다. 용기에 깨만 넣어서 갈아주다가 퍽퍽해지면 올리브유 1큰술을 넣고 같이 돌려줍니다.
후무스 만들기
후무스 재료 :
삶은 병아리콩 600g (400~600g), 타히니 소스 5~6 큰술, 레몬즙 1/4컵, 통마늘 2알, 올리브유 2큰술, 소금 1/4작은술, 약간의 물 (후무스 되기 맞추는 용)
믹서기 용기에 삶은 병아리콩 600g, 타히니 소스 5큰술, 레몬즙 1/4컵, 통마늘 2알, 올리브유 2큰술, 소금 1/4 작은술을 한꺼번에 넣어주고 돌려주면 거의 끝입니다. 병아리콩의 양은 400~600g 조절 가능하고 타히니 소스도 더 넣고 싶으면 넣으면 됩니다^^ 소금도 입맛에 맞게 조절해주고! 전 1/2 작은술을 넣었는데 짭짤한 맛이 강해서 1/4 작은술로 조절했습니다. 소금은 조금씩 넣어서 입맛에 맞추세요. 이렇게 갈다가 되직해서 잘 안갈리면 물을 소량씩 넣어서 되기를 맞춰줍니다. 스프로 즐기려면 조금 부드럽게, 샌드위치나 크래커에 스프레드로 먹으려면 약간 되직하게 맞춰주면 되겠죠?
이번에는 부드럽게 갈아줬습니다. 되직한 것 보다 부드럽게 갈아야 더 잘 넘어가더라구요^^ 매일 후무스 맛 내기에 실패했었는데 이번에는 약간 짭짤하게 제 입맛에 맞게 만들어진 것 같아서 레시피를 공유합니다^^ 저는 샌드위치에 넣어먹을꺼라 짭짤하게 맞춰줬는데(소금 1/4작은술) 스프로만 즐기거나, 짭짤한 맛이 싫다면 소금양을 조금 줄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후무스를 용기에 보관할 때는 위에 올리브오일로 올려주고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면 됩니다. 다른 첨가재료가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보관기간은 3~4일 정도로 짧은편입니다. 그래서 한 번 만들때는 먹을 양만 만들어주면 됩니다! 열심히 샌드위치 소스로, 야채 딥 소스로 먹어야겠네요^^ 병아리콩을 어떻게 요리해야할지 모르겠다면 후무스를 만들어 즐겨보세요^^
'정보이야기 > 생활정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소품] 마크라메 부엉이 만들기 (0) | 2022.10.06 |
---|---|
[초보 홈베이킹] 드디어 성공한 클래식스콘! (0) | 2022.07.17 |
병아리콩 삶는 방법과 보관 방법 (0) | 2022.07.15 |
서브웨이 빵 종류와 메뉴 그리고 주문하는 방법까지! (0) | 2022.07.14 |
인스턴트 드라이 이스트 보관하는 방법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