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야기/생활정보 TIP

산부인과 산전검사 지원받기ㅣ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ㅣ e보건소에서 신청하기ㅣ가임력 검사비 지원

by 뮹e 2025. 3. 24.
반응형



요즘에는 결혼 적령기가 늦어졌기 때문에 당연히 가임시기도 늦어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가임력은 나이가 어릴수록 좋은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미혼인 분들은 물론이고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또는 결혼을 하신 분들도 본인의 가임력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할 것 같습니다. 저또한 가임기의 여성이기 때문에 임신 사전 검사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어떻게 신청하고 어디를 방문해야할지 몰라서 미루고 있다가 'e보건소' 라는 곳을 통해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는 정보를 알게되었습니다.
 
e보건소 바로가기 https://www.e-health.go.kr/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e보건소에서 신청하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임신 사전검사의 비용을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저도 2025년도가 되어서야 알게 되어서 이전에는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2025년부터는 미혼도 지원이 가능하다고 하니 본인의 건강상태가 걱정이신 30대인 미혼분들은 검사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신청방법

 
 
일단 e보건소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접속하면 바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팝업이 떠서 쉽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혹시 팝업이 뜨지 않는다면 살짝 밑으로 스크롤을 내려 [의료비지원-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을 눌러서 들어갑니다.
 

신청대상

 

 
 
신청대상은 2025년부터 미혼도 지원가능하기 때문에 결혼,자녀 여부는 상관없습니다. 또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은 별도 비자 조건 없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주요 주기가 총3주기까지 있는데 각 주기마다 1회씩 지원해주고 최대 3회 지원가능하다고 합니다. 주기별 1회를 지원해주니까 주기별로 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어서 둘째, 셋째를 갖는 분들도 참여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검사항목 및 검사비 지원금액

 
검사항목은 여성은 난소기능검사(AMH)와 부인과 초음파입니다. 많은 난임 여성분들이 검사하는 나팔관조영술은 지원사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남성은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를 지원합니다.
검사비 최대 지원금액이 여성은 최대 13만원, 남성은 최대 5만원이라고 하는데 검사항목을 검사하면 그 정도 나온다고 합니다. 그러니 따로 개인이 내야하는 비용이 들지는 않습니다. 임신에 대한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굳이 안할 이유가 없겠죠?
 

지원절차

 
 우선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분들은 e보건소 에서 온라인으로 신청가능합니다. 이 사업으로 인해 e보건소 처음 이용해봤는데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돼서 너무 편리했습니다. 인터넷 이용이 어려우신 분들이나 집 앞에 바로 보건소가 있는 분들은 보건소에 직접 방문하셔도 됩니다.

e보건소에 들어서 지원사업 페이지에서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접수하면 보건소에서 검사의뢰서를 발급해줍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신청서 접수한 바로 그 다음날 검사의뢰서가 발급되었습니다.

이 검사의뢰서가 발급되고 출력하거나 캡쳐해서 검사받을 병원에 보여줘야 하니까 꼭! 검사의뢰서를 발급받은 후에 병원에 방문해야합니다. 저는 출력해서 갔는데 캡쳐해서 가도 된다고합니다. 검사의뢰서가 발급되지 않았는데 병원을 방문하면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없다는 것 주의해주세요.
 
지원사업을 신청하고 나서 3개월 이내에 검사해야 합니다. 저는 발급받고 나서 사정상 두달 뒤에 방문했는데 검사의뢰서에 언제까지라고 날짜가 명시되어 있으니 검사할 수 있는 기간을 넘기지 않게 주의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병원에 따로 예약하지 않았으나 남성분들 같은 경우에는 병원에 전화 한 번 하고 가는거 추천드립니다. 저는 남편과 같이 병원에 방문했는데 마침 그날 남성검사를 담당하는 의사선생님께서 안계시다고 검사를 못받았습니다. 여성분들 같은 경우는 이런일이 없지만 남성분들은 검사받기 이틀 전 쯤에 정액검사 되냐고 문의 한 번 하고 가는게 헛걸음 안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특히 지방같은 경우 ..)
 
https://www.e-health.go.kr/gh/infm/selectBbsDtlViewInfo.do?bbsId=U00182&bbsNo=416835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온라인민원 서비스,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등 안내

www.e-health.go.kr

 
 
또 해당되는 의료기간에서만 꼭 받아야 지원이 되기 때문에 각자 지역에 있는 참여의료기관을 확인한 후 방문해야 합니다. 참여의료기관이 아닌데 방문해서 검사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지원신청시에 내국인은 온라인 신청시 제출할 서류는 없습니다. 그래서 온라인 신청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방문 신청시 필요한 서류 확인하고 준비해서 방문하면 됩니다.
 
 

검사비 청구 

 
 
검사비 청구는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청구해야 합니다. 괜히 미루다가 지원금 못받지 말고 검사 다녀온 그 날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검사 의뢰서를 갖고 병원에 방문하면 알아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챙겨주십니다. 청구서류에는 외래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 진료비 세부내역서 그리고 본인명의의 통장사본 입니다. 청구서는 방문 신청 시 제출하는 서류이고 온라인으로 제출한다면 청구서를 제외한 서류만 제출하면 됩니다. 저는 이것도 모르고 온라인으로 제출하는데 청구서까지 작성했답니다. 저처럼 이런 수고를 겪지 안으시려면 꼼꼼히 확인하고 진행하세요.
 
 

 
 
e보건소에서는 간편인증을 통해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하면 여성과 남성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부부더라도 여성과 남성이 각각 개별적으로 지원사업에 신청해야합니다.
 
신청하기 어렵고 번거로울 줄 알았던 임신 사전건강관리 였는데 e보건소로 간편하게 접수하고 청구까지 간편하게 할 수 있어서 너무 편한 것 같습니다. 임신 계획이 있거나 본인의 건강이 궁금하신 분들은 지원사업 신청해서 무료로 검사받아보세요.

반응형

댓글